본문 바로가기

경영/전략

공유가치창출

공유가치창출 개념이 최근 크게 주목 받고 있다. 공유가치창출은 마이클포터(Michael E. Porter) 교수가 하버드비즈니스리뷰(Harvard Business Review)에 논문 ‘Creating Shared Value(부제: How to reinvent capitalism-and unleash a wave of innovation and growth)’를 게재하여 이슈가 되었으며, 이제는 사회적 아젠다로 자리잡았다.

 

공유가치창출 마이클포터


공유가치창출(CSV: Creating Shared Value)이 종종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과 비교되는데, 기업이 취해야 할 투자와 경영의 방향을 제시한다는 면에서는 유사하지만 지향점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CSR은 기업이 사회로부터 부여 받은 비즈니스 기회에 대한 보답으로 그 이익의 일부를 사회에 환원한다는 개념인 반면, CSV는 그 자체가 기업의 비즈니스이며 경영전략이다.
CSR은 기업의 평판(reputation)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장기적 관점에서 기업에 유익한 활동이 될 수 있지만, 이를 기다릴 수 없는 상당수 주주의 가치에는 반한다. 그러나 CSV는 해당 사업의 경제적 가치를 예측할 수 있고 사후 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업 모델만 우수하다면 기업과 주주가 마다할 이유가 없다.
아래 표는 마이클포터 교수가 논문에 수록한 비교표로서 공유가치창출(CSV)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어떻게 다른지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CSR과 CSV 비교

 

경제학은 전통적으로 ‘경제적 필요’가 시장을 형성한다고 정의해왔으나 공유가치창출의 개념에 의하면 ‘사회적 필요’또한 시장을 형성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각종 사회적 문제는 기업과 무관한 것이 아니며 이는 내부 비용을 발생시켜 기업의 생산성을 저해하고 가치창출을 방해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사회적 문제는 기업의 입장에서도 해결해야 하는 대상이 된다.
공유가치의 창출은 기업이 이미 획득한 경제적 가치를 사회에 나누어 주는 것이 아니라, 기업이 사회적 문제 해결을 통해 비즈니스 기회를 획득하고 수익을 창출하여 사익과 공익을 함께 추구함을 의미한다.

 

공유가치창출의 원리

 

자본주의는 그 동안 수정에 수정을 거듭하며 사회의 가치관과 환경의 변화에 꾸준히 적응해왔다. 자본주의의 핵심인 시장경제 메커니즘은 인류의 삶을 물질적으로 윤택하게 하였으며 풍족해진 경제적 환경은 다시 인류의 문화적 욕구를 자극하여 학문과 예술 등에서 큰 발전을 이루게 하였다. 이제 자본주의는 다시 한번 시험대에 오르고 있다. 18세기 애덤스미스(Adam Smith) ‘자유방임주의’에서 시작한 자본주의는 20세기 초 케인즈(Keynes) 학파의 ‘수정자본주의’를 거쳐 ‘신자유주의’와 ‘국가자본주의’로 모습을 바꾸어왔으나 그 기저에서는 변함없이 혁신과 성장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빈익빈부익부’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고 그 폐해는 더욱 고질화 되어가는 형국이다.
오늘날 기업은 경제적 가치 창출의 핵심이며 기업을 배제하고 자본주의를 논할 수 없게 되었다. 기업의 가치창출 활동이 사회적 기여와 함께 하는 것은 인류가 지속 발전하기 위한 요건이기 이전에, 기업이 영리 활동의 기반을 잃지 않기 위한 필사적 노력일 수 밖에 없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자본주의는 이렇게 진화할 것이다.

 

'경영 >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 다음 합병  (0) 2014.05.30
아이폰4S, 아이폰5... 애플의 전략은?  (0) 2011.10.05